Your browser is not fully supported. Please upgrade your browser.

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테리어

평범함을 거부한다


실라 힉스는 50년 이상 재료의 특징을 이용한 예술 작품을 창작해 명성을 쌓았으며 그녀는 지금도 여전히 열정적입니다. 쉐일라 힉스가 말하는 ‘재료에서 오는 즐거움’을 앨리슨 커블러의 인터뷰에서 만나보시죠.

어느 일요일 아침 파리로 연결된 전화. 실라 힉스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았습니다. 말이 띄엄띄엄 들렸죠. 전화에 좀 더 가까이 대고 말해주겠느냐고 물으니 통화하는 동안 작품을 짤 수 있도록 전화를 스피커 상태로 뒀다더군요. 멀티 태스킹에 능한 힉스는 아쉬워하면서도 선뜻 직조기 앞을 떠나 저와 예술과 삶에 관한 깊은 대화를 나누는 데 집중해주기로 했습니다. 힉스는 현재 짜고 있는 작품이 밝은 연녹색인데 거기에 자두색을 조금 더하면 얼마나 ‘톡톡 튈지’ 기대된다고 했습니다. 설명만 들어도 아름다운 작품을 실제로 볼 수 없어서 정말 답답했습니다.

힉스는 무시하지 못할 경력을 갖고 있습니다. 50년 넘게 예술가로 활동했으며 현재 나이 83세에도 상을 휩쓸고 있죠. 연륜이 있으니 당연한 것일 테지만요. 1957년 힉스는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칠레로 가게 됐습니다. 칠레는 그녀가 원단과 직조를 배우게 되고 남아메리카, 멕시코, 남아프리카, 모로코, 인도, 여러 곳으로 떠나는 계기가 됩니다. 힉스의 작품은 많은 주요 박물관과 박람회에 전시되거나 수집되어 있습니다. 휘트니 비엔날레(Whitney Biennial), 뉴욕의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2014),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의 글래스고 인터내셔널(Glasgow International -2016), 중국 항저우의 항저우 섬유 예술 트리엔날레(The Hangzhou Triennial of Fiber Art -2016), 이탈리아 베니스의 57주년 베니스 비엔날레(57th Biennale di Venezia -2017) 등이죠. 힉스의 작품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갑니다. 진짜 육체적 노력이 필요하죠. 힉스가 가장 좋아하는 재료는 울과 기타 천연 섬유입니다. 하지만 마크라메를 상상하지는 마세요. 힉스는 1970년대 이래 패브릭을 이용하여 예술, 공예, 건축을 넘나드는 작품을 만들어 왔습니다. 작은 직조 작품에서부터 재료의 한계를 시험하는 거대한 기념물까지 힉스는 항상 놀랍고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힉스는 평범하고 별것 아닌 재료를 놀라운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독특한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 작품을 보면 저절로 조각, 그림, 장식 예술에 대한 대화가 하고 싶어지죠. 힉스의 모든 작품은 형식주의와 예술에 대한 관점을 담고 있습니다. 작품 활동 초기 예일 대학(Yale University )에서 고(故) 조세프 앨버스(Josef Albers) 화가의 가르침을 받았던 것이 색상과 추상에 영향을 준 것이 보입니다. 동기이자 페미니스트 영웅 에바 헤세(Eva Hesse )에게서 영향을 받고 서로 경험을 공유했다는 점도 눈에 띕니다. 에바의 작품도 부드러운 조각에 대한 접근 방식이 비슷하죠. 힉스는 1970년대 당시 예술 및 예술가에 대한 글은 일종의 역사 재구성임을 금방 깨달았습니다. 힉스는 예술과 예술가를 엮어 맥락을 만드는 것을 ‘실’이라고 묘사했죠. 힉스의 작품은 어느 한 미술 운동으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예술에 깊이 관심이 없는 사람도 현대 미술의 트렌드가 핸드메이드라는 걸 알 겁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바로 공예입니다. 한때는 예술계에서 천시됐지만 세라믹 공예를 보면 그 인기가 분명하죠. 요즘 갤러리에는 손으로 빚은 도자기가 꼭 하나씩은 있습니다. 공예를 고급 예술 형태로 인정하게 된 것은 촉각 경험에 대한 문화적 욕구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손끝으로 소통한다는 고대 그리스의 개념이 되돌아온 것입니다. 힉스의 작품에선 예술가의 손길이 느껴집니다. 힉스는 ‘반복적인 동작’라는 용어를 더 선호하지만요. “제 작품은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만들어지죠.”라고 힉스는 설명했습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하늘을 쳐다보고 바느질을 하거나 요리를 하고 정원을 가꾸는 것도 그에 포함돼요.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것도 반복적인 제스처지요. 동사와 명사를 엮는 제스처예요.” ‘실천’이라는 단어는 힉스의 일상적인 예술 활동을 잘 표현합니다.

 

실라 힉스, ‘유채색 세계를 넘어서’, 2016-17, 혼합 재료, 천연 및 합성 섬유, 천, 슬레이트, 대나무, 이탈리아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

무엇보다도 힉스의 작품은 압도적인 정열을 보여줍니다. 작은 직조 작품이든 화려한 색의 거대한 공 여러 개로 이뤄진 ‘Escalade Beyond Chromatic Lands’란 이름의 설치 예술품(현재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 중)이든 힉스의 작품은 만지지 않고는 못 배깁니다. 심지어 일반적인 예술품처럼 멀리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져보도록 관객에게 권하고 있죠. 힉스의 작품은 만지고 더듬으며 따스한 느낌을 느끼고 싶다는 본능적인 욕망을 이끌어냅니다. 그리고 울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의류 재료 중 하나죠. 울은 그 자체로도 엄청난 역사적 중요성을 가진 재료지만 힉스의 손에 들어가면 보석처럼 소중하고 신비로운 재료로 다시 태어납니다. 힉스의 작품은 무언가를 다른 것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주목하고 있죠.

힉스에게 재료에 대해 그렇게 관심이 많은 이유를 한번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다들 관심이 많지 않나요?”하고 되묻더군요. “어쩌다 보니 인생에 중요한 일부가 됐어요. 어떤 한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는 못 하겠네요. 여러 우연한 만남과 재미에서 얻게 됐다고 하죠. 매일 산책하는 걸 떠올려보세요. 예를 들어 룩셈부르크 가든을 매일 산책한다고 해보죠. 매일 다른 길로 가면서 길을 바꿔보려고 해봐도 결국은 같은 길을 여러 번 다니게 될 거예요.  그런데 놀라운 점은 잘 알고 있고 매일 지나는 길인데도 항상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는 거죠. 질릴 정도로 많이 다닌 길인데도요. 왜 계속 그 길로 돌아가느냐고요?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 돌아가게 되는 거예요. 저는 그랬죠.”

우리가 대화를 했을 무렵 힉스는 뉴욕에 있다가 파리에 있는 본인의 집으로 돌아간 상태였습니다. 힉스가 1964년부터 살았던 곳이고 하이 라인에 설치한 대규모 작품 ‘Hop, Skip, Jump and Fly: Escape from Gravity:’를 완성한 곳이기도 합니다.   힉스는 현재 웨스턴 레일 야드(Western Rail Yards)에 있는 그 작품으로 도시에 가벼움을 주고 싶었다고 합니다. 가볍고 밝고  활기찬 느낌을요. 작품의 부제는 도시에 만연한 ‘진지한 분위기’를 꼬집은 것이라고 합니다. 힉스는 현재 멕시코 푸에블라의 암파로 박물관(Museo Amparo- 2017)과 프랑스 파리의 조르주 퐁피두 센터(Centre Georges Pompidou -2018)에서 열릴 개인 전시회를 위해 바쁘게 작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베르사유 정원용 대규모 작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것도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죠. 아직 작품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놀랍고 부조화하도록 설계했다고 합니다. 정돈된 정원에 다채로운 부조화함을 더하려는 것이죠. 힉스다운 작품일 것입니다.